본문 바로가기

Database3

[데이터베이스] transaction manager, storage manager, query manager transaction manager - 트랜젝션이란?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단위 또는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연산들을 의미 트랜잭션 매니저는 동시다발적인 트랜잭션을 관리 할 수 있어야 한다. transaction manager 의 필수 기능 ACID Atomicity (원자성) - 트랜잭션의 실행이 완전하게 일어나던지 아니면 시작조차 하지 않던지 둘중에 하나만 하라. Consistency (일관성) -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 되면 일관적인 DB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. 데이터형이 정수형에서 string으로 변한다거나 하면 안된다. Isolation(격리성) - 트랜잭션 수행시 다른 트랜잭션은 끼어들 수 없다. durability.. 2020. 6. 11.
[데이터베이스] 기본키와 외래키 그리고 제약조건의 설계 기본키 - primary key - 데이터를 구분하는 가장 근본이 되는 값 - not null & unique 외래키 학번 이름 수강과목 b6xxxx 김길동 1 b7xxxx 조길동 2 b5xxxx 박길동 3 수강과목id 과목이름 1 자료구조 2 프로그래밍 언어 외래키는 위 처럼 다른 테이블의 '기본키'를 참조할때 외래키라고 한다. 박길동은 3번 과목이 없지만 3번 수강과목을 들었다고 되어있는 데 이런 현상을 dangling 이라고 한다. 이는 참조 무결성을 위반한 것이다. 제약조건의 설계 -개체 무결성(entity integrity) 기본키는 null 을 가질수 없다. - 참조 무결성 (referential integrity) 외래키는 참조하는 테이블에 존재하여야 한다. - 도메인 무결성 (domain .. 2020. 6. 11.
intro DBMS 기말고사 대비겸 데이터베이스 공부한 것을 정리해보고자 한다. 어디까지 정리할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데이터베이스 지식에 도움이 될거 같아서 정리해 두기로 한다. 본 장에서는 간단하게 개념위주로 설명한다. DBMS 란? -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DBMS 필수 기능 4가지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디자인 할 수 있어야한다.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. 대량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야 한다. 많은 사람이 동시에 데이터를 볼 수 있어야 한다. 데이터 딕셔너리 란? 데이터 베이스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시스템 테이블 테이블을 생성 및 변경할 때, 서버에서 자동으로 갱신된다. 사용자가 직접 수정 및 삭제할 수 .. 2020. 6. 11.